달라서 아름다운 일상

문을 통해 본 운현궁.

phototherapist 2011. 9. 13. 16:51

 서울특별시 사적 제257호로서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위치한 운현궁은 조선조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잠저(潛邸)이며 흥선대원군의 사저이며,

한국근대사의 유적 중에서 대원군의 정치활동의 근거지로서 유서 깊은 곳이다.

 흥선군 이하응이 왕실집권을 실현시킨 산실이자 집권이후 대원군의 위치에서 왕도정치로의 개혁의지를 단행한 곳이다.

대원군이 권력에서 하야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치적 영향력을 내외에 행사한 곳으로서 고종이 즉위하기 전까지 살았던 잠저(潛邸)였기 때문에

역사적 상징성이 더욱 크다. 흥선군의 사저가 운현궁으로 불리게 된 것은 1863년 12월 9일 흥선군을 흥선대원군으로,

부인 민씨를 부대부인으로 작호를 주는 교지가 내려진 때부터였다. .

고종의 잠저는 당시 대왕대비 교지를 받들어 영의정 김좌근, 도승지 민치상, 기사관 박해철·김병익 등 일행이 명복(明福-고종의 이름)에게

익종의 대통을 계승토록 하기 위하여 고종을 맞이하러 최상급의 가마행렬을 갖추어 관현(觀峴)의 흥선군 사저에 갔을 때

흥선군의 위엄 있는 자세와 그의 둘째 아들인 명복의 천진스러웠던 모습에 대한 사실적 묘사에서 운현궁이 고종의 잠저였음을 알 수 있다.

 

 

 

 

                                             이로당은 운현궁의 가장 왼쪽에 위치한 건물로 노락당과 더불어 안채의 기능을 담당 하고 있어               

                                            여자들만 살 수 있게 별도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금남지역으로 ㅁ자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이것이 '한옥만이 가질 수 있는 과학이구나' 싶게 모든 문들을 통해 자연을 느낄 수 있게 만들어졌고

대청을 통해 다리를 건너듯 다른 방으로 건너 갈 수 있게 만들어진 설계도 감탄을 자아낸다.

 

 

 

 

 

 

 

 

 

 

 

 

 

 

 

 

 낮게 만들어진  뒤뜰로 통하는 문에는 투박하지 않은 곡선의 문양을  덧대어 놓아 여인네들의 공간임을 알리려는듯.

마당에는 물에 하늘을 담아 놓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에는 양관도 담겨져 있다.

양관은 일본인들이 운현궁을 감시하기 위해 지었다는 설도 있다.

 

 

 

 

 

 

 

 

 

 

 

 

 

 

 

 

몸을 조금 비켜서니 양관이 오롯이 들어와 있다.

 

 

 

 

 

 

 

 

 

 

 

 

 

 

 

 

 

 운현궁 내에 자리 잡은 양관 은 일본인이 설계 시공한 건물로, 흥선대원군의 손자 이준용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

그 후 의친왕의 차남인 이우의 소유였다가, 해방이후인 1946년에 학교법인 덕성학원이 소유하게 되면서 현재 덕성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사무처로 사용되고 있다.

 

 

 

 

 

 

 

 

 

 

 

 

 

 

 

 

 

 

 

 

 

                                             하늘을 향해 위용도 당당한 처마의 나무결이 세월을 느끼게 한다. 

 

 

 

 

 

 

 

 

 

 

 

 

 

 

 

 

 문들을 모두 다 열어 놓았는데   겹겹의 또 다른 방과 연결되어 있다.

 

 

 

 

 

 

 

 

 

 

 

 

 

 

 

 

 

 

 

 

아마도 행사때 사용하는 삼지창인듯. 벽 한 구석에 세워져 있다.

 

 

 

 

 

 

 

 

 

 

 

 

 

 

 

 

 

 

 

단정한듯 무심한듯, 기와지붕과 하늘과 나무.

 

 

 

 

 

 

 

 

 

 

 

 

 

 

 

 

 

 

 

담장에도 섬세한 손길이 머물러 있다.

 

 

 

 

 

 

 

 

 

 

 

 

 

 

 

 

 

 

 

 

뒤뜰 위쪽에 놓여진 장독들이 정겹다.

 

 

 

 

 

 

 

 

 

 

 

 

 

 

 

 

 

 

 

 

 

 

이층높이의 창문도 활짝~~!. 

 

 

 

 

 

 

 

 

 

 

 

 

 

 

 

 

안쪽에서 바라본 이로당으로 들어오는 문.

 

 

 

 

 

 

 

 

 

 

 

 

 

 

 

 

 

                                             문틈으로 보이는 소나무와 담장.

 

 

 

 

 

 

 

 

 

 

 

 

 

 

 

 

                                         아까 보았던 장독들을 이번에는 문을 통해  보고.

 

 

 

 

 

 

 

 

 

 

 

 

 

 

 

 

                                      뜨거운 햇살을 안고 있는 학독, 그 옆에는 우물도 있다.

 

 

 

 

 

 

 

 

 

 

 

 

 

 

 

 

 

 

 

 

어느새 나무는 가을을 감지하고 있고.

 

 

 

 

 

 

 

 

 

 

 

 

 

 

 

 

 

 

 

 

이곳은 사저로 사용되었다기 보다는 궁궐에 가까운 규모였다. 

래 건물은 규모가 더 컸다는데 지금도  그리 작지는 않은 듯...

노안당, 노락당. 이로당등으로 들어가는 문들도 고스란히 세월을 안고있다.

 

 

 

 

 

 

 

 

 

 

 

 

 

 

 

 

 

 

 

 

 

 

 

 

 

노락당쪽에서 노안당을 바라보고.

 

 

 

 

 

 

 

 

 

 

 

 

 

 

 

 

 

 

 

 

                                             빛바랜 창호지문도..

 

 

 

 

 

 

 

 

 

 

 

 

 

 

 

 

 

 

 

 

명성왕후가  어머니의 생신을  맞아 찾아 온 것을 재현해 놓은.

 

 

 

 

 

 

 

 

 

 

 

 

 

 

 

노안당 쪽에서 본 건물뒷편.

 

 

 

 

 

 

 

 

 

 

 

 

 

 

 

문에 장식.

 

 

 

 

 

 

 

 

 

 

 

 

 

 

 

 

 

 

 

한옥의 장점인 앉아서 뜰을 볼 수 있는 ..

 

 

 

 

 

 

 

 

 

 

 

 

 

 

 

 

 노락당으로 들어가는 문.

 

 

 

운현궁 전시실에서는 유재력 사진가의 '운현궁의 사계'라는 주제로 사진전이 열리고 있었다.

1년 3개월에 걸쳐 운현궁을 찍었다는데

간결하면서도 멋스러운 사진들을 보며

부럽기만 했더라는.

 

 

 

 

'달라서 아름다운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경궁에 하늘  (0) 2011.09.21
운현궁에서 만난 사람들.  (0) 2011.09.14
청계천에 발 담그실래요?  (0) 2011.09.08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기를...  (0) 2011.09.04
빛이 예쁜 날.  (0) 201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