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시,영화

박노해 사진전-다른길(티베트에서 인디아까지)

phototherapist 2014. 2. 13. 11:26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본관 지하 1층

                            2014년 2월 5일- 3월 3일. 휴관일 없음

                       관람시간 오전 11시- 오후 8시 30분.

 

  그 길이 나를 찾아왔다.

인간에게 위대한 일 세 가지가 있다.

 사는 것,

사랑하는 것,

죽는 것.

박노해 사진전 (다른 길)은 이 위대한 '일상의 경이'를 펼쳐 보인다.

 

 

 

 

 

 

 

 

 

 

 

                         

                                                                                                                       인디고 블루 하우스

                                                           하늘빛을 닮은 인디고 블루를 칠하고 흰 쌀가루를 개어 그림을 그린다,

                                                    불 항아리를 인 여인이 자신이 다져 만든 인디고 빛의 계단을 사쁜사쁜 걸어 오른다.

 

 

 

 

 

 

 

 

 

 

 

                                                                                                        파슈툰 소년의 눈동자

한 생에 고통과 비극을 다 보아버린 눈동자. 만년설산이 들어박힌 저 푸른 눈빛, 아니 푸른 불꽃.

부모를 잃은 어린 가장을 안아주자 만년설이 녹아 내리듯 소리 없이 눈물을 흘렸다던 소년.

한번만이라도 그들이 웃는 모습과 소리 내어 우는 모습을 보기를 바랬다고 한다.

거대한 성전이 아닌 이 아이들의 눈동자에서 신을 만난다던 .

 

소년들을 보는 순간 울컥하게 된다.

안아주자

소리 없이 울었다던 소년,

얼마나 많은 아픔을 담고 있었을까?

얼마나 따뜻한 품에 안기고 싶었을까?

얼마나 위로받고 싶었을까?

웃는 모습과 소리 내어 우는 모습이라도 보고 싶다던 작가...

단단하게 앙다문 입술에는 어떠한 것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의지와

책처럼 보이는 소지품을 핑계 삼아 

가슴에 모으고 손으로 움켜쥐고 있는 몸짓은

  누구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거부는 아니었을까?

너무 많은 것을 보아버리고 경험한 그들은

이제는 어떠한 것도 받아들이기  어렵게 되어버린.

경계인 듯 두려움인듯 거부인듯한 눈빛을 가지게 되었던 것이 아닐까?

 여러 개의 조명이 터트려진 양

반짝이는 만년설이 선명하게 들어앉은

반짝이는 눈은

그래서

더 슬퍼 보인다.

 그들의 눈을 보며 '나는 너무 많은 것을 가진 것은 아닌가.'

 철없는 어른 하나가 그곳 전시장, 그들앞에 두손 모으고 반성하는 자세로 서 있다.

다행인 것은

흑백사진임에도  균열진 흙벽이 따스하게 느껴진다는 것, 

그들에게 희망 한 가닥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 그렇게 보여졌을 것이다.

 

 

 

 

 

 

 

 

                                                                                               짜이가 끓는 시간